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Algorithm

배열과 리스트

by 타미타레 2024. 4. 22.

목차

    1. 자료구조(Data Structure)

    자료구조

    • 자료구조라 함은 컴퓨터 기억공간 내에 자료를 표현하고 조직화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사용하는 데이터 양과 연산, 필요한 기억장치의 양, 원하는 작업에 대한 처리 시간, 데이터의 성격 등을 고려해서 문제에 맞는 적절한 자료구조를 선택해야만 보다 효율적으로 자료를 처리할 수 있다. 
    •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2. 배열

    배열

    • 배열이란 같은 자료형을 갖는 여러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 이름으로 모아 놓은 데이터의 집합이다.
    • 배열의 값은 인덱스를 통해 참조할 수 있으며, 선언한 자료형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배열의 구조 예시, 출처(https://wikidocs.net/22958)

    배열의 특징

    • 인덱스를 사용하여 값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 원소의 논리적 순서와 저장된 물리적 순서가 같기 때문이다.
    •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발생하는 경우 시간적인 오버헤드 즉 과정이 복잡해진다. -> 원소들이 순차적으로 저장되기 때문이다.
    •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 때 지정할 수 있으며, 한 번 선언하면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다. -> 정적할당
    • 구조가 간단하여 코딩 테스트에서 많이 사용한다.

    3. 리스트

    리스트

    • 리스트는 값과 포인터를 묶은 노드라는 것을 포인터로 연결한 자료구조이다.
    • 리스트는 데이터의 논리적 순서와 물리적 순서를 반드시 일치시킬 필요 없이 물리적으로는 데이터를 기억장치의 어느 곳에 저장해도 된다.

    단순 연결 리스트
    이중 연결 리스트
    순환 연결 리스트

    리스트의 특징

    • 값에 접근하는 속도가 배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다. -> 인덱스가 없으므로 값에 접근하려면 Head 포인터부터 순서대로 접근해야 한다.
    •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연산 속도가 빠르다.
    • 선언할 때 크기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 동적할당
    • 포인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므로 배열보다 구조가 복잡하다.

    4. 배열 vs 리스트

     배열을 사용하는 경우

    • 데이터의 크기가 정해져 있는 경우
    • 값에 접근하는 경우가 많은 경우

    리스트를 사용하는 경우

    • 데이터의 크기가 변하는 경우
    • 데이터의 삽입과 삭제가 많은 경우

    5. 참고

    - 알고리즘(이관용&김진욱)

    - Do it 알고리즘 코딩 테스트 자바 편(김종관)

    '프로그래밍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 포인터] 주몽의 명령  (0) 2024.04.29
    [투 포인터] 연속된 자연수의 합 구하기  (0) 2024.04.27
    구간의 합 구하기  (0) 2024.04.24
    배열과 리스트 실전문제  (0) 2024.04.23
    알고리즘  (0) 2024.04.18

    댓글